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259

[책 리뷰] 최고의 선택 [ 생각해볼만한 주제가 많아서 재밌게 읽었던] [최고의 선택] - 김형철 이 책에서 가장 재밌었던 부분은 단연 [ 딜레마가 있는 질문 ]부분이다. 나라면 어떻게 할까, 왜 그런 선택을 할까에 대해서 계속해서 생각하게 된다. 제일 재미없고 짜증나는 친구가 답정너(답은 정해져 있으니 너는 대답만 해)이듯이 말입니다. 리더가 회의 시작부터 자신의 입장을 밝히면서 카리스마를 뽐내는 순간, 그 회의는 더 이상 계속할 필요가 없습니다. 그러므로 리더는 가장 나중에, 그것도 꼭 필요할 경우에만 발언해야 합니다. 리더의 말은 곧 결론이기 때문입니다.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남의 의견을 잘 듣는 그릇이 큰 사람이 리더가 되어야 한다고 말하는 겁니다. 적은 가설과 가정으로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이 불필요하게 많은 것을 가정하.. 2022. 8. 14.
[책 리뷰] 비상식적 성공 법칙 [말이 가지는 힘이 얼마나 강력한가] [비상식적 성공 법칙] - 간다 마사노리 우리는 계속 반복되는 말, 자기 자신에게 하는 말, 그리고 다른 사람이 동조하는 말로 현실을 구축한다. 그러다 보니 주위 환경—어떤 사람을 자기 주변에 두는가—으로 자신의 현실도 바뀌어버린다. 정말 무서운 일이다. 이 책에서는 최면술을 예시로 같은 말을 반복할 때 주는 힘이 얼마나 큰지에 대해서 이야기한다. 이걸보면서 가스라이팅도 같은 맥락이라고 생각했고, 주변에 긍정적인 이야기를 많이 하는 사람들을 둬야겠다는 생각을 했다. 그러면 어떻게 하면 발상력과 행동력에 직결되는 정보 수집이 가능할까? 내 경험에 의하면 3가지 방법이 있다. 첫 번째는 경영자들과 마찬가지로 ‘책과의 만남’이고, 두 번째는 ‘사람과의 만남’이다. 지난 일.. 2022. 8. 13.
[AI] XAI(explainable AI)란? ℹ️ XAI ? eXplainable AI의 줄임말로 설명가능한 AI란 뜻을 가지고 있음 기존 알고리즘은 정확도와 설명력이 trade-off 관계를 가지고 있음. 기존에는 정확도가 높더라도 왜 그런 결과가 나오게 되었는지 설명할 수 없었음. (이 것을 black-box 모델이라고 함)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나온 것이 XAI → 결국 XAI 란 사람이 AI의 동작과 결과를 이해하고 올바르게 해석할 수 있고, 결과물이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 가능하도록하는 기술을 의미 ❓XAI 모델의 필요성 1. 설명이 가능하다면 어디를 개선해야하는지 개선 point를 찾을 수 있음 2. 왜 그런 결과가 나왔는지 이야기할 수 있음 1. 사람이 결과를 이해할 수 있는 투명성을 개선 2. 신뢰성을 제고 여.. 2022. 8. 2.
[22년 7월 17 - 31일] 휴우 한숨을 길게 뱉어 봐두~ 🌨️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. 2022. 7. 31.
[Python] 딕셔너리와 리스트 비교 / Dictionary | List 리스트는 [ ] 대괄호 안에 값을 넣어주고 인덱스로 값을 접근한다. 딕셔너리는 {} 중괄호 안에 key:value의 형태로 저장한다. 리스트가 값에 접근할 때 인덱스(숫자)로 접근했다면, 딕셔너리는 이름(key)로 접근한다고 생각하면 된다. ls = [23, 41, 2, 231, 256] dic = {'name' : '홍길동', 'phone' : '01012341234', 'accept' : True} print(ls[1]) # 41 print(dic['name']) # 홍길동 딕셔너리는 key로 접근하기 때문에 key가 겹치면 안된다. 예를 들어 아래의 코드를 보면 name이 홍길동과 가나다 두 개가 존재하는데, 이 경우 프린트 해보면 뒤에 있는 가나다로 업데이트 된 것을 볼 수가 있다. 이런 식으로 .. 2022. 7. 30.
[책 리뷰] 당신만 모르는 일의 법칙 51 [모르는 일의 법칙이 뭔가 있을까 궁금하다면?] [ 당신만 모르는 일의 법칙 51 ] - 이혜운 대체 불가능이라는 단어에 꽂혀서 읽게된 책 놓치지 아쉬운 사람이 되려면? 누군가의 기대치를 만족시키기란 어렵다. 높은 자리에 올라갈수록, 유명해질수록, 잘나갈수록 그 기대치는 높아진다. 소셜 미디어 등에서는 단지 유명하고 인기가 많다는 이유로 꼬투리를 잡아 비판하는 사람들도 생겨난다. 그 기대치를 부담스러워할 필요는 없다. 그것을 역으로 잘만 이용하면 호감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. 그리고 그 기대치를 파악할 때는 시끄러운 소수보다 침묵하는 다수의 의중을 잘 살피려고 노력해야 한다. - 사람들의 '기대치'를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법 : 기대치 위반 효과 강의 평가를 보면서 소수의 의견에 치중해서 과정의 방향.. 2022. 7. 18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