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256 [22년 7월 17 - 31일] 휴우 한숨을 길게 뱉어 봐두~ 🌨️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. 2022. 7. 31. [Python] 딕셔너리와 리스트 비교 / Dictionary | List 리스트는 [ ] 대괄호 안에 값을 넣어주고 인덱스로 값을 접근한다. 딕셔너리는 {} 중괄호 안에 key:value의 형태로 저장한다. 리스트가 값에 접근할 때 인덱스(숫자)로 접근했다면, 딕셔너리는 이름(key)로 접근한다고 생각하면 된다. ls = [23, 41, 2, 231, 256] dic = {'name' : '홍길동', 'phone' : '01012341234', 'accept' : True} print(ls[1]) # 41 print(dic['name']) # 홍길동 딕셔너리는 key로 접근하기 때문에 key가 겹치면 안된다. 예를 들어 아래의 코드를 보면 name이 홍길동과 가나다 두 개가 존재하는데, 이 경우 프린트 해보면 뒤에 있는 가나다로 업데이트 된 것을 볼 수가 있다. 이런 식으로 .. 2022. 7. 30. [책 리뷰] 당신만 모르는 일의 법칙 51 [모르는 일의 법칙이 뭔가 있을까 궁금하다면?] [ 당신만 모르는 일의 법칙 51 ] - 이혜운 대체 불가능이라는 단어에 꽂혀서 읽게된 책 놓치지 아쉬운 사람이 되려면? 누군가의 기대치를 만족시키기란 어렵다. 높은 자리에 올라갈수록, 유명해질수록, 잘나갈수록 그 기대치는 높아진다. 소셜 미디어 등에서는 단지 유명하고 인기가 많다는 이유로 꼬투리를 잡아 비판하는 사람들도 생겨난다. 그 기대치를 부담스러워할 필요는 없다. 그것을 역으로 잘만 이용하면 호감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. 그리고 그 기대치를 파악할 때는 시끄러운 소수보다 침묵하는 다수의 의중을 잘 살피려고 노력해야 한다. - 사람들의 '기대치'를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법 : 기대치 위반 효과 강의 평가를 보면서 소수의 의견에 치중해서 과정의 방향.. 2022. 7. 18. [22년 6월 26 - 7월 16일] 나 좀 루즈한지도..😿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. 2022. 7. 16. [22년 6월 11일 - 6월 25일] 한달이 이렇게 호로록 지나갈 일 입니까?!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. 2022. 7. 3. [22년 5월 30일 - 6월 10일] 이렇게까지 블로그를 미뤘던 적은 없는데,,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. 2022. 6. 24. 이전 1 ··· 11 12 13 14 15 16 17 ··· 43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