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256 [22년 8월 15 - 19일] 한다롱 Edition 쓰기 전 날들 🕺🏻 광복절인데 그냥 집에 있기 싫어서 괜히 한다현한테 찝적거려서 나오게 하기 흠음~~ 근데 크로플 뜯김 공부 가르쳐주면서 왜 크로플도 뜯기는 건지 알다가도 모를 일.. 토익 공부해야되는데 한다롱 단어 외우길래 같이 외웠는데 진짜 애들이 왜 거기서 거기처럼 생긴거야~~~ 그리고 곱창까지? 완벽. 서비스로 환타까지 받아서 행복하게 옴뇸뇸쓰~ 나를 대노하게 만들었던 타임블럭스.. 그렇지만 다 해결돼서 행복해 음ㅇ므~ 수강신청하려고 회사에 노트북도 들고갔는데 서버 터진 거 실화냐? 컴공껄로 해서 취업계 가능한 캡스톤 하려고 했는데 결국 안돼서 우리과꺼 들어버려..~ 이거 진짜 미친놈임 보는데도 맛있어보이네 진짜 나 좋아하는 볶음면 여기로 바뀜 디타워 [타마린드].. 또 가자고 해야즤~~~ 혜원 펠님이 고디바 아슈크.. 2022. 8. 26. [Python] 데이터 분석 자주 쓰는 코드 모음 (1) 판다스, 그래프, 상관계수 🔴 필수 모듈 # warning 제거 import warnings warnings.filterwarnings('ignore') # 데이터 불러오기 import pandas as pd import numpy as np # 그래프 import matplotlib.pyplot as plt import seaborn as sns import plotly.express as px import cufflinks as cf # 그래프 기본 설정 %matplotlib inline plt.rc('font', family = 'Malgun Gothic') 🔴 상관계수확인 px.imshow(data.corr().round(2), text_auto = True, color_continuous_scale='RdBu') 🔴 R2.. 2022. 8. 14. [22년 8월 1 - 14일] 맨날 술이야~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. 2022. 8. 14. [책 리뷰] 최고의 선택 [ 생각해볼만한 주제가 많아서 재밌게 읽었던] [최고의 선택] - 김형철 이 책에서 가장 재밌었던 부분은 단연 [ 딜레마가 있는 질문 ]부분이다. 나라면 어떻게 할까, 왜 그런 선택을 할까에 대해서 계속해서 생각하게 된다. 제일 재미없고 짜증나는 친구가 답정너(답은 정해져 있으니 너는 대답만 해)이듯이 말입니다. 리더가 회의 시작부터 자신의 입장을 밝히면서 카리스마를 뽐내는 순간, 그 회의는 더 이상 계속할 필요가 없습니다. 그러므로 리더는 가장 나중에, 그것도 꼭 필요할 경우에만 발언해야 합니다. 리더의 말은 곧 결론이기 때문입니다.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남의 의견을 잘 듣는 그릇이 큰 사람이 리더가 되어야 한다고 말하는 겁니다. 적은 가설과 가정으로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이 불필요하게 많은 것을 가정하.. 2022. 8. 14. [책 리뷰] 비상식적 성공 법칙 [말이 가지는 힘이 얼마나 강력한가] [비상식적 성공 법칙] - 간다 마사노리 우리는 계속 반복되는 말, 자기 자신에게 하는 말, 그리고 다른 사람이 동조하는 말로 현실을 구축한다. 그러다 보니 주위 환경—어떤 사람을 자기 주변에 두는가—으로 자신의 현실도 바뀌어버린다. 정말 무서운 일이다. 이 책에서는 최면술을 예시로 같은 말을 반복할 때 주는 힘이 얼마나 큰지에 대해서 이야기한다. 이걸보면서 가스라이팅도 같은 맥락이라고 생각했고, 주변에 긍정적인 이야기를 많이 하는 사람들을 둬야겠다는 생각을 했다. 그러면 어떻게 하면 발상력과 행동력에 직결되는 정보 수집이 가능할까? 내 경험에 의하면 3가지 방법이 있다. 첫 번째는 경영자들과 마찬가지로 ‘책과의 만남’이고, 두 번째는 ‘사람과의 만남’이다. 지난 일.. 2022. 8. 13. [AI] XAI(explainable AI)란? ℹ️ XAI ? eXplainable AI의 줄임말로 설명가능한 AI란 뜻을 가지고 있음 기존 알고리즘은 정확도와 설명력이 trade-off 관계를 가지고 있음. 기존에는 정확도가 높더라도 왜 그런 결과가 나오게 되었는지 설명할 수 없었음. (이 것을 black-box 모델이라고 함)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나온 것이 XAI → 결국 XAI 란 사람이 AI의 동작과 결과를 이해하고 올바르게 해석할 수 있고, 결과물이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 가능하도록하는 기술을 의미 ❓XAI 모델의 필요성 1. 설명이 가능하다면 어디를 개선해야하는지 개선 point를 찾을 수 있음 2. 왜 그런 결과가 나왔는지 이야기할 수 있음 1. 사람이 결과를 이해할 수 있는 투명성을 개선 2. 신뢰성을 제고 여.. 2022. 8. 2. 이전 1 ··· 10 11 12 13 14 15 16 ··· 43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