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256

[책 추천] 어서오세요, 휴남동 서점입니다. [ 최근 책의 챕터2 정도까지만 읽고 닫은 책들이 많았는데 빨리 완독하고 싶다고 생각이 들게 한 책] 특별하지 않은 모두의 이야기 [어서오세요, 휴남동 서점입니다.] - 황보름 대학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하고 LG전자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일했다. 몇 번의 입사와 퇴사를 반복하면서도 매일 읽고 쓰는 사람으로서의 정체성은 잃지 않고 있다. 처음에 읽게된 계기는 베스트 도서에 올라와서 읽어볼까 하는 마음이었는데 작가소개를 보자마자 개발자이자 작가는 어떤 이야기를 쓸까도 궁금했다. 책 속에는 내 좁은 경험으론 결코 보지 못하던 세상의 고통이 가득해요. 예전엔 못 보던 고통이 이제는 보이는 거죠. 누군가의 고통이 너무 크게 느껴지는데, 내 성공, 내 행복만을 추구하기가 쉽지 않아지는 거예요. 그래서 책을 읽으면.. 2022. 2. 4.
[1월 22 - 2월 3일] 격리 중에 쓰는 얼레벌레한 지난 일상 😵‍💫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. 2022. 2. 4.
[ DAY 3 / 22.01.30 ] IF : ENFP와 INTJ의 환장쇼 어젯 밤 9시반에 만나서 11시까지 수다 떤 제주온도의 도미토리 아지매들,, 제주 수다 떨면서 난리법석을 떨다가 우리가 공항갈 방법 고민하고 있으니까 흔쾌히 태워주겠다던,, 최고,, 진짜 아침에 진짜 유명한 곳 있으니까 같이 가서 밥먹고 카페갔다가 데려다 주겠다고 해서 간 [바굥식당] 여기 컵도 예쁘고 인테리어도 엄청 깔끔하당 ㅎ 하루에 30인분 밖에 준비 안 하고 웨이팅이 있을 수도 있다 그래서 완전 오픈런 했는데 다행히도 우리가 1등이었움 힣 메뉴는 일주일에 한 번씩 바뀐다는데 내가 먹은 건 돼지고기 마늘쫑 볶음..? 약간 대만 키키레스토랑 생각나는 맛이었움 ㅠ 저기에 살짝 보이는 참깨 연두부가 날 설레게 해버림 너무 맛도리양~ 근데 사장님이 진짜 파워 J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듯한 느낌이었다,,! .. 2022. 2. 3.
[DAY 2 / 22.01.29 ] 제주도민은 오는 정 김밥 안 먹는 다며? 🍙 [제주 온도]에서의 두 번째 날 아침 산책,, 필수지 물론 전 날 와인 신명나게 마셔버리는 바람에 아침에 일어나기 좀 벅찼지만 6시 40분? 별 거 아니지,,! 여기가 이승악 오름이라는데 진짜 나무가 너무 예쁘게 잘 되어 있당 ㅠㅠ 작은 사장님이 준비해주신 얼그레이 차랑 핫팩 덕분에 따듯하고 노곤노고한게 노래 들으면서 서로 맛집 공유ㅎㅎ;; 제주도에서 맛집 찾을 거면 그냥 게하와서 주변 어디가 괜찮냐고 물어보는게 젤 좋을 듯 이거 작은 사장님이 찍고 보정해준 건데 진짜 미쳐썽 ㅠ 그냥 마스크 쓰고 찍을 걸 그랬나~ 나도 저렇게 보정 잘하고 싶은뒈,, 좀 뭔가 어색어색하단 말이지.. 먼저 내려와서 사장님 기다리면서 사진 찍었는데 봄에 진짜 엄~~청 예쁘다고 하신 길에서 찍었는데 지금은 그냥 헐랭~~~한 그.. 2022. 2. 1.
[DAY 1 / 22.01.28] 남는 건 사진 뿐이야💧 아침에 사람 겁나 많았던 김포공항 진짜 탐색대 들어가는 데에만 한 40-50분 걸렸나,, 비행기 원래 8시 30분 꺼 였는데 다행히 20분 지연돼서 탑승 게이트 앞에 있는 츄러스 먹었지롱~ 흙흐륵흐 보고 싶었어 제주,, 짐 찾고 나가기 전에 이선이 화장도 하고 ~ 숙소까지 가는 데 오래 걸리니까 밥 먹으러 나갔당 도착하자마자 공항에서 제일 제주스러운 곳에 사진 찍어준다며 사진 찍어버리깅 힣 날씨 진짜 너무 따뜻해서 후드 집업에 자켓 입었는데 후드 집업은 들고 다녔다구여~ 짬뽕에 취한 날 주변에 있는 이름은 모르는 그냥 홀린 듯 들어간 곳,, 가지 말 걸,, 맛있긴 했는데 갈비 짬뽕이 마지막 날 휴무 일지 몰랐지!!!!!! 나 대체 갈비 짬뽕 언제 또 먹어,,? 제주 올 때마다 실패. ㅋㅋㅋㅋㅋㅋㅋㅋㅋ힣 .. 2022. 1. 31.
[프로그래머스 / level 1] 같은 숫자는 싫어 [ 프로그래머스 / Level 1 / 같은 숫자는 싫어 ] 🚀 문제 : 배열 arr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숫자는 제거하고 남은 수들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하기 example ) arr answer [1,1,3,3,0,1,1] [1,3,0,1] def solution(arr): idx = 0 # list에서 현재 위치를 알려줄 index l = [arr[0]] # 첫 번째 미리 넣어 놓기 for a in arr: # 리스트 다 돌기 if l[idx] == a: # 같은 숫자일 때 까지 pass else: # l의 현재 위치와 다른 숫자일 때 l.append(a) # 현재 수 넣어주고 idx +=1 # 그 위치로 바꾸기 return l 2022. 1. 22.